개인투자자들이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거래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ETF는 인덱스 펀드이지만 기존 인덱스 펀드보다 종류가 다양하며 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펀드들과는 달리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며, HTS나 전화를 통해서도 매매가 가능합니다.
적립식 펀드는 매월 일정 금액을 펀드에 투자함으로써 평균비용효과(Cost Average Effect)등 장기 투자의 효과를 노리는 방법입니다.
일정한 주기마다 같은 금액으로 ETF를 매수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몇 번의 클릭만으로 적립식 펀드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가 매수/매도 시기를 직접 결정하므로 보다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선물은 한 계약의 크기가 수천만원 수준으로 소액 투자자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큰 금액입니다. 하지만 ETF는 최소 거래 단위가 1주이기 때문에,
그 동안 선물 거래와 유사한 매수/매도 전략을 원했던 많은 소액투자자들은 ETF의 신용 거래를 통해서 비슷한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선물과는 달리 마진콜(Margin call)의 위험이 없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에게 해외 주식 투자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그러나 해외 시장에 투자하는 해외투자 KODEX를 거래할 경우 손쉽게 해외 투자를 하실 수 있습니다.
KODEX 시리즈의 KODEX China H / KODEX 중국본토 A50 / KODEX China H 레버리지(H) / KODEX 일본TOPIX100을 통해 중국, 일본 주식시장에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KODEX ETF 시리즈는 해외, 국내 시장지수, 주식테마, 주식업종, 채권에 투자하는 ETF 등 다양한 투자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ODEX ETF 시리즈를 통해 시장 전체 또는 업종, 채권 등으로 자산배분 투자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자산의 일부분은 주식시장 전체의 흐름에 소외되지 않는
시장지수 KODEX에 투자하고, 반도체 업종 등 일부 업종에의 투자가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업종, 테마 KODEX에, 안정자산 투자를 위해 채권 KODEX에 그리고 해외 시장에
가장 쉽고 빠르게 투자하는 해외 KODEX에 자산을 나누어 투자하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자산 배분 투자가 가능합니다.
① 기초지수 | ETF가 추종하는 지수입니다. 대표적인 기초지수로는 코스피 200 지수, 코스닥 150 지수, S&P500 지수 등이 있습니다. |
---|---|
② NAV (Net Asset Value) | 펀드의 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펀드 자산 총액에서 부채 및 비용을 뺀 금액입니다. |
③ 시장가격 | 한국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거래되는 ETF의 가격입니다. |
④ 추적오차 | 기초지수의 일간변동률과 NAV의 일간변동률의 차이의 표준편차(연환산)입니다. ETF 운용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⑤ 괴리율 | 시장가격과 NAV와의 격차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⑥ LP (Liquidity Provider) | 유동성 공급자를 의미하며 증권사가 그 역할을 담당합니다. 투자자가 ETF를 원활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호가를 제시합니다. |
⑦ PDF (Portfolio Deposit File) | ETF가 담고 있는 투자종목정보입니다. ETF의 자산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식거래와 동일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