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군 유형 국내주식 팩터
KOSPI 200 종목 중 기업 내재가치가 주목되는 종목만 추린 KOSPI 200 가치저변동성 지수에 투자합니다. KOSPI 200에서 변동성이 높은 종목을 제외하여 안정성을 더욱 높였습니다.
기준일 :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
ETF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0,690 원
하락 265 (-2.42%)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10,712 원
하락 240 (-2.19%)
거래량
4,507 주
1. 기초지수인 코스피 200 가치저변동성 지수는 지수 구성종목들의 비중을 단순시가총액이 아닌 내재가치를 기초로 산출하는 S&P의 GIVI(Global Intrinsic Value Index) 방법론을 적용한 지수입니다.
2. 저베타 포트폴리오 + 내재가치 투자
1. 필요에 따라 표본추출 방식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2. 시장 변화에 따라 포트폴리오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최소한의 추적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집합투자업자의 판단에 따라 비교지수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KOSPI200 가치저변동성 지수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순자산 총액 | 236억원 | 사무수탁사 | KSD (한국예탁결제원) | ||||||||||||||||
---|---|---|---|---|---|---|---|---|---|---|---|---|---|---|---|---|---|---|---|
상장일 | 2015.06.26 | 수탁은행 | KB은행 | ||||||||||||||||
총보수 |
연 0.300% (지정참가회사 : 0.010%, 집합투자 : 0.250%,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20%) |
설정단위 | 200,000 좌 | ||||||||||||||||
분배금 지급 |
지급 (최대 연 5회, 지급 기준일 :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최근 3년 분배금 지급현황
최근 3년 분배금 지급현황
|
최소거래단위 | 1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