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의 투자 담당자이신가요?
KODEX ETF는 다양한 운용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투자상품입니다.
ETF는 단순한 인덱스 펀드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다른 운용 전략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ETF를 활용하여 다양한 운용 전략을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ETF와 현물 바스켓 간 또는 ETF와 선물/옵션 간 차익 거래를 통하여
무위험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ETF의 거래 가격과 실제 순자산가치(NAV)와의 차이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시장 중립 전략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자산을 활용하는 투자 전략으로, 초과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을 매수하고 다른 하나는 매도하여 시장의 움직임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두 자산 간의 상대수익률의 차이만을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Relative Value Trading 또는 롱숏 전략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IT 경기 수축기에는 반도체 수출 업체보다는 내수 산업 관련주가 상대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은행 ETF를 매수하고 반도체 ETF를 매도하면 전체 시장 리스크는 최소화시키고 두 지수 간 상대수익률의 차이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성격의 ETF를 활용하여 쉽게 시장 중립 전략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ETF 투자는 선물 투자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추가적인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ETF는 만기가 없기 때문에 선물의 만기가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롤오버(Roll-over) 위험이 없습니다. 또, 선물은 매일 정산을 하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면 증거금을 추가로 입금해야 하는 마진콜(Margin call) 발생 위험이 있지만 ETF는 마진콜 발생 위험이 없습니다. 한 계약의 크기가 수천만원 수준인 선물과 달리 ETF는 몇 만원 이하의 단위로 거래할 수 있어 소액투자에 적합합니다. 선물과 같은 파생상품 투자에 제한이 있거나, 이를 꺼리는 투자자일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롤오버에 대한 위험 없이 헤지(Hedge)가 가능합니다. 특정 업종에 대해서도 헤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중 자동차 주식만을 헤지하고 싶을 경우 기존에는 자동차 관련 주식을 매도했습니다. 그러나 상장되어 있는 자동차 ETF를 매도하여 포트폴리오 중 자동차 산업에 관련된 주식만 헤지할 수 있습니다. ETF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대주를 해야만 매도할 수 있습니다.
은행 업종이나 IT 업종과 같은 특정 산업에 대한 투자를 하기 위해서 해당 업종 ETF를 편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업 내 개별 종목 비중의 벤치마크 대비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일시적인 업종 투자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성그룹주/대형주 등의 테마별 ETF 등으로 특정 테마주에의 투자를 통해 자산 배분을 다양하게 하여 투자할 수 있습니다.
차익거래란 두 자산 간의 가격차이를 이익으로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2가지의 자산 중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자산을 매수하고 비싼 자산을 매도한 후, 가격 차가 없어졌을 때 매수자산을 매도하고 매도자산을 매수합니다.
기존에는 주식과 선물/옵션이라는 2가지 축 사이에서 차익거래가 이루어졌으나, ETF를 활용하면 ETF, 주식, 선물/옵션의 3가지 축으로 차익거래를 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전략이 가능해집니다. 특히 ETF는 현물로 설정/해지한다는 특징이 있고 이것이 ETF의 차익거래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ETF 저평가 시 차익거래 전략 | ETF 고평가 시 차익거래 전략 |
---|---|
|
|
ETF와 주식은 모두 T+2일 결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ETF를 매도하는 차익거래 시, ETF 공매도와 동시에 주식 바스켓을 매수하여 ETF 설정을 신청하고, T+2일에 설정이 완료된 ETF를 통해 ETF 공매도분을 결제하면 차익거래가 가능합니다.
개별 주식보다 인덱스나 주식 바스켓에 투자하면 수익률의 변동성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ETF는 그 자체로 분산된 포트폴리오이기 때문에 ETF를 편입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의 개별 종목 위험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펀드 설정 초기인 경우에는 주식 포트폴리오가 완전히 구성되기 전에 임시로 ETF를 편입함으로써 시장보다 수익률이 부진할 위험을 회피하는 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해외 시장에 투자하는 ETF를 활용하면 해외 투자를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KODEX 선진국 MSCI World, KODEX 중국본토 A50, KODEX 일본 TOPIX100, ETF 등을 통해 미국, 일본, 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 투자해보세요.
기관투자자들은 개인투자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통 시장인 증권선물거래소에서 매도와 매수 주문을 통해 거래가 가능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행시장의 AP (지정참가회사)를 통해서 설정/환매 등을 이용한 대량 거래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설정/환매 시에는 ETF 운용회사가 발표하는 주식 바스켓 내역에 맞추어 현물 결제(In-kind Creation & redemption)가 이루어집니다.
ETF투자자 간 Cash(증권사) ETF(매매)가 이루어짐
AP(Authorized Participant) | ETF를 판매하는 지정참가회사로 ETF의 설정과 해지를 대행합니다. |
---|---|
LP (Liquidity Provider) | 유동성공급자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겸하는 AP입니다. |
KODEX 200 (069500) | AP | |
---|---|---|
LP | ||
KODEX 200 가치저변동 (223190) | AP | |
LP | ||
KODEX 200 동일가중 (252650) | AP | |
LP | ||
KODEX 200ESG (337160) | AP | |
LP | ||
KODEX 200IT TR (363580) | AP | |
LP | ||
KODEX 200TR (278530) | AP | |
LP | ||
KODEX 200exTOP (337150) | AP | |
LP | ||
KODEX 200롱 코스닥150숏선물 (360140) | AP | |
LP | ||
KODEX 200중소형 (226980) | AP | |
LP | ||
KODEX 2차전지산업 (305720) | AP | |
LP | ||
KODEX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368680) | AP | |
LP | ||
KODEX FnTop10동일가중 (395170) | AP | |
LP | ||
KODEX Fn멀티팩터 (337120) | AP | |
LP | ||
KODEX Fn성장 (325010) | AP | |
LP | ||
KODEX Fn시스템반도체 (395160) | AP | |
LP | ||
KODEX Fn웹툰&드라마 (395150) | AP | |
LP | ||
KODEX IT (266370) | AP | |
LP | ||
KODEX K-메타버스액티브 (401470) | AP | |
LP | ||
KODEX K-미래차액티브 (385520) | AP | |
LP | ||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 (385510) | AP | |
LP | ||
KODEX K-이노베이션 액티브 (373490) | AP | |
LP | ||
KODEX KRX300 (292190) | AP | |
LP | ||
KODEX KRX기후변화솔루션 (404260) | AP | |
LP | ||
KODEX KTOP 30 (229720) | AP | |
LP | ||
KODEX MSCI KOREA (156080) | AP | |
LP | ||
KODEX MSCI KOREA ESG유니버설 (289040) | AP | |
LP | ||
KODEX MSCI KOREA TR (278540) | AP | |
LP | ||
KODEX MSCI모멘텀 (275280) | AP | |
LP | ||
KODEX MSCI밸류 (275290) | AP | |
LP | ||
KODEX MSCI퀄리티 (275300) | AP | |
LP | ||
KODEX Top5Plus TR (315930) | AP | |
LP | ||
KODEX 건설 (117700) | AP | |
LP | ||
KODEX 게임산업 (300950) | AP | |
LP | ||
KODEX 경기소비재 (266390) | AP | |
LP | ||
KODEX 고배당 (279530) | AP | |
LP | ||
KODEX 기계장비 (102960) | AP | |
LP | ||
KODEX 모멘텀PLUS (244620) | AP | |
LP | ||
KODE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266360) | AP | |
LP | ||
KODEX 바이오 (244580) | AP | |
LP | ||
KODEX 반도체 (091160) | AP | |
LP | ||
KODEX 배당가치 (325020) | AP | |
LP | ||
KODEX 배당성장 (211900) | AP | |
LP | ||
KODEX 밸류PLUS (244670) | AP | |
LP | ||
KODEX 보험 (140700) | AP | |
LP | ||
KODEX 삼성그룹 (102780) | AP | |
LP | ||
KODEX 삼성그룹밸류 (213610) | AP | |
LP | ||
KODEX 에너지화학 (117460) | AP | |
LP | ||
KODEX 운송 (140710) | AP | |
LP | ||
KODEX 은행 (091170) | AP | |
LP | ||
KODEX 자동차 (091180) | AP | |
LP | ||
KODEX 증권 (102970) | AP | |
LP | ||
KODEX 철강 (117680) | AP | |
LP | ||
KODEX 최소변동성 (279540) | AP | |
LP | ||
KODEX 코스닥 150 (229200) | AP | |
LP | ||
KODEX 코스닥150롱 코스피200숏선물 (360150) | AP | |
LP | ||
KODEX 코스피 (226490) | AP | |
LP | ||
KODEX 코스피100 (237350) | AP | |
LP | ||
KODEX 코스피TR (359210) | AP | |
LP | ||
KODEX 코스피대형주 (337140) | AP | |
LP | ||
KODEX 퀄리티PLUS (244660) | AP | |
LP | ||
KODEX 탄소효율그린뉴딜 (375770) | AP | |
LP | ||
KODEX 필수소비재 (266410) | AP | |
LP | ||
KODEX 헬스케어 (266420) | AP | |
LP | ||
KODEX 혁신기술테마액티브 (364690) | AP | |
LP |